(진품보증)/대한제국기 의정부찬정, 농상공부대신, 규장각경 등을 역임/양주(楊州)인 /조동희(趙同熙)/ 書簡文

연장경매 대상 마감 전 1분 이내 입찰 시 3분 연장 (최초 1회 한정) 공유 신고

확대보기 확대보기     |     돋보기 돋보기

해당 판매자의 평균 배송기간은 2일 이내입니다.
배송기간은 주말/공휴일을 제외한 영업일 기준

2주 전 월요일 ~ 일요일까지 입금완료일부터 배송완료일까지의 평균 소요 일수를 기준으로 합니다.
배송완료 건이 비정상 거래로 판단되는 경우, 집계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현재가
남은시간

(2025년 10월 16일 20:50:59)

경매번호 2510XLITN77
입찰기록 [기록보기]
입찰단위 10,000원
희망 입찰가
예상 구매가

( + 구매수수료 )

물품 크기 미입력
제조국 한국

크기     가로 46  높이  28


오래된 물품으로 흠이 있을수 있읍니다(이미지 사진 참고해 주세요)


낙찰시 배송비는 후불을 원칙으로 하며  금액의 오차가 있을수 있읍니다( 우체국 택배)


대한제국기 의정부찬정, 농상공부대신, 규장각경 등을 역임한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이칭
이칭
유선(有先)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56년(철종 7) 8월 4일
사망 연도
1934년 5월 26일
본관
양주(楊州)
출생지
서울
정의
대한제국기 의정부찬정, 농상공부대신, 규장각경 등을 역임한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개설

본관은 양주(楊州)이고, 자는 유선(有先)이다. 영의정을 지낸 조두순(趙斗淳)의 손자로, 조병섭(趙秉燮)의 아들이며, 조병집(趙秉集)에게 입양되었다.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농상공부 대신에 이르렀다. 일제 강점 후 남작 작위를 받았다가 ‘가자 분산(家資分散)’의 이유로 조선귀족 예우 정지와 해제를 반복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56년 8월 4일 서울에서 출생하였다. 1876년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가주서(假注書)가 되었고, 1877년 9월 홍문관 부수찬·규장각 직각(奎章閣直閣)·남학 교수(南學敎授)·병조정랑, 10월 어영 종사관(御營從事官), 12월 훈국 종사관(訓局從事官)과 사간원 헌납에 임명되었다. 1879년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고, 1880년부터 예조참의·승정원 동부승지에 이어 우부승지·우승지·좌승지를 거쳐 도승지를 역임하였다. 1883년 참의군국사무(參議軍國事務), 1886년 성균관 대사성, 1887년 참의내무부사(參議內務府事)를 거쳐 1889년 가선대부(嘉善大夫)가 되어 형조 참의·협판 내무부사·한성부 우윤·예조 참판·이조 참판를 역임하였고, 호조 참판·검교 겸 보덕(檢校兼輔德)에 임명되었다. 1891년 정부 당상(政府堂上), 1892년 중추부 동지(中樞府同知), 1893년 공조 참판, 1897년 비서원경(秘書院卿)·궁내부 특진관에 올랐다.

1903년 산릉도감 제조(山陵都監提調)·장례원경(掌禮院卿)·사직서 제조(社稷署提調)·경효전 제조(景孝殿提調)를 맡았다. 1904년 의정부 찬정(議政府贊政)·원소도감 제조(園所都監提調)·순명비궁 만장제술관(純明妃宮輓章製述官), 1905년 9월 농상공부 대신, 1907년 11월 규장각경(奎章閣卿)이 되었다. 1909년 1월 순종황제가 서남순행(西南巡幸)을 할 때 호종을 하고 종1품 숭정대부에 올랐다.

1907년 3월 통감부의 유림 회유정책에 편승하여 전직 고위관리를 중심으로 조직한 유교단체 대동학회의 평의원이 되었고, 1908년 2월 대동학회에서 설립한 대동전문학교 찬무원을 맡았다. 안중근 의거 직후인 1909년 10월 30일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의 송덕비 건립 취지서를 발간하였다.

일제 강점 이후 일본 정부로부터 한일합병에 관한 공로를 인정받아 1910년 10월 7일 발표된 남작 작위 수여 대상자에 포함되었다. 그에 따라 1911년 1월 13일 조선총독부에서 열린 은사공채권 교부식에 참석하여 일본 정부로부터 2만 5천원의 은사공채를 받았고, 같은 해 2월 22일 총독관저에서 열린 작기 본서 봉수식(爵記本書奉授式)에 참석하였다. 또 1912년 8월 1일 일본 정부로부터 한국병합기념장을 받았고, 12월 정5위에 서위(敍位)되었으며, 1915년 11월 10일 다이쇼[大正]대례기념장을 받았다.

1916년 가자 분산(家資分散)으로 「조선귀족령」 제8조에 의거하여 조선귀족 예우가 정지되었다가 1917년 변채 복권(辨債復權)으로 조선귀족 예우 정지가 해제되었다. 1918년 3월 28일 경성지방법원에서 ‘가자 분산’을 선고받고 이것이 경성부에 보고되어 4월 7일 호적에 조선귀족 족칭 상실이 기재되었다. 제적등본에는 1918년 기재된 호적상 ‘조선귀족 족칭상실 기재’는 착오이므로 법원의 허가를 얻어 1931년 9월 17일 이를 말소하고 호적에 조선귀족의 족칭을 다시 기재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처럼 조선귀족 예우 정지와 해제 과정을 거치며 1934년 사망 당시까지 작위를 유지하였다. 1930년 1월 조선귀족을 구제하기 위해 설립된 창복회(1929년 9월 28일 설립)로부터 1월분 교부금 150원을 지급받았다. 1934년 5월 26일 사망하여 그의 남작 작위는 같은 해 7월 2일 양자 조중헌이 세습하였다.


 

회원님이 관심 가질 만할 경매

1 / 2
  • 번호
  • 질문구분
  • 제목
  • 등록자
  • 등록일
반품시 주의사항
아래 각호의 경우에는 반품이 되지 않습니다.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멸실 / 훼손된 경우(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 소비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3)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4)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5) 판매 / 생산방식의 특성상, 반품 시 판매자 에게 회복할 수 없는 손해가 발생하는 경우(주문접수 후 개별생산, 맞춤 제작 등)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알아보기
파손물품 반품시 주의사항
물품 수령시 택배기사와 함께 물품의 파손여부를 확인하신 후,
반품 신청시 파손이미지를 등록해 주시면 안전하고 신속하게 환불처리를 해드리고 있습니다.

영수증발행 : 온라인현금영수증(소득공제용 / 지출증빙용)

영수증신청 : 수령확인시에 개인소득공제용 또는 사업자회원님의 지출증빙용(세금계산서대체)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주)코베이옥션에 등록된 상품과 상품내용은 개별 판매자가 등록한 것으로서, ㈜코베이는 중개시스템만 제공하며 해당 등록내용에 대하여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판매자가 사업자회원이 아닌 개인회원의 경우 판매자 정보는 [코베이옥션 결제처리] 이후 판매자의 연락처 등을 구매한 소비자에게 즉시 제공하게 됩니다.

코베이옥션은 구매안전서비스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가입사실 확인

마이페이지

 로그인

로그인 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