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4대가 오진(元四大家 吴镇) 1300년대 견본絹本 수묵산수 방미씨운산(仿米氏云山) 사진

연장경매 대상 마감 전 1분 이내 입찰 시 3분 연장 (최초 1회 한정) 공유 신고

확대보기 확대보기     |     돋보기 돋보기

해당 판매자의 평균 배송기간은 1일 이내입니다.
배송기간은 주말/공휴일을 제외한 영업일 기준

2주 전 월요일 ~ 일요일까지 입금완료일부터 배송완료일까지의 평균 소요 일수를 기준으로 합니다.
배송완료 건이 비정상 거래로 판단되는 경우, 집계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현재가
남은시간

(2025년 10월 05일 03:33:11)

경매번호 250976IYGR8
입찰기록 [기록보기]
입찰단위 100,000원
희망 입찰가
예상 구매가

( + 구매수수료 )

물품 크기 1x1x1cm
제조국 중국
이번 경매는 원4대가 오진의 임모작(방작)을 즉구가 경매로 진행하며 
경매사진 하단에 참고작품으로 서양화임모작(방작)을 소개드립니다.

이번 소개작품 중 한두 점은 내년초 혹은 그 이후에 만원경매로 소개드릴 예정입니다. 
따라서 이번 경매는 즉구가가 아닐 경우, 경매 제목대로 작품사진만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사진을 팔지는 않겠습니다만, 낙찰 수수료 혹은 미입금신용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작가 500만원 이상은 낙찰여부에 관계없이 등록수수료가 있어
498만원을 시작가로 번잡스러운 선택을 한 점 양해해주시기 바라며
즐겁고 평안한 명절 연휴되시기 바랍니다.


원4대가 오진(元四大家 吴镇) 1300년대 견본絹本 수묵산수 방미씨운산(仿米氏云山)  사진
방미가산수(仿米家山水)        작품부분크기   31x33cm 

오진(吴镇,1280-1352) 은 황공망,왕몽,예찬과 함께 원대 4대가로 꼽히는 화가로,
원4대가는 중국 미술사는 물론 중근세 세계미술사에서 동양화 산수화법의 절정을 이룬 
역대급 화가로 평가되고 있는 최고봉의 작가입니다.

본 작품은 역대급 대가 오진(吴镇,1280-1354년)의 14세기 견본(비단폭) 산수 임모작입니다.

고대부터 범관(范宽,950-1032),동원(董源,943-?생졸년불명)등 송나라 대가들은 
당나라 대가들의 방작을 그렸으며, 또한 범관 동원 등의 작품은 
또 명청대의 대가들이 무수히 따라 그려 방작을 남겼으며,
근래에도 대부분 화가들이 당송과 명청 대가들의 임모작품을 많이 그리고 있습니다.

2017년 본 판매자 경매에도 현대 산수대가 여웅재(黎雄才)가 송대 동원의 산수화 필법을
따라 그렸다고 화제를 쓴,  방동원산수(董源山水) 임모작 한 폭을 소개드린 바 있습니다.

당백호(당인唐寅),문징명,동기창 등 명대 대가들은 송과 원나라 대가들의 임모작 방작을 그렸으며 
명,청대 와 근대 현대까지 그 같은 전통이 변함없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화가들이 그리는 대가들의 방작이나 임모작은, 주로 화풍을 따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대놓고 유사하게 그린 후 화제에 '존경하는 누구의 작품을 따라 그렸다'라고 적기도 합니다.

대가들의 임모작은 습작이나 따라 그리는 수준이 아니라,역대 대가의 작품을 모티브로 
자신의 운필과 발묵이 스며있는 재창조의 의미를 가진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는 것입니다.

본 작품으로 실제적인 예를 들면,  역대급 미술대가, 원4대가 오진吳鎭은 
방미가산수(米家山水-미씨의 산수를 따라 그리다)를 많이 그렸습니다.
본 작품 화제(畫題)에 써 있듯 미우인(米友仁=虎兒)의 필법을 따른 그림으로 
미우인은 부친의 명성을 이었다는 의미로 새끼호랑이(虎兒,虎儿)라고 불렸습니다.
(---미가(家)란 북송 4대가인 천하명필 미불(米芾,1051-1107)과 
그의 아들이자 송대의 산수화대가 미우인(米友仁,1074-1153) 일가를 일컫는 말로,
부자와 가문 모두가 중국고대 산수화 대가를 이룬 가문입니다.---)
원래는 미씨가문화파 작품들의 원래 명칭은 본 작품처럼 산과 구름을 그렸다 하여 
미씨운산(米氏云山)입니다만 후대에 편하게 미가산수라고 부르게 되었다 합니다.

방미가산수는 오진 동기창 왕취 등고대화가부터 현대 장대천 계공 등의 작품들까지
중국과 세계 메이저경매만으로 한정해도 수백점의 경매낙찰기록이 있을 정도입니다.


경매설명 마지막사진은 방미가산수의 가장 최근 메이저 경매기록입니다.

지지난 달 7월27일 667만위안에 낙찰된 반천수의 1941년작 산수화로

미가산수화풍으로 산과 사원과 탑이 있는 풍경을 그리고, 

본인의 화풍으로 소나무와 암벽을 그려 조화시킨 米家山水작품입니다. 

'拟' 역시 모방이란 뜻으로, 미가산수임모 등 약간씩 다른 표현의 작품들도

가끔씩 보입니다만 모두 방미가산수 장르에 속하는 작품들입니다.


중국 최대 최고의 미술품 정보플랫폼 아창미술망(아트론넷) 기록입니다.

潘天寿 1941年作 为杨资创作 拟米家山水 立轴

估价

RMB 2,800,000-4,000,000

成交价RMB 667万 *雅昌拍卖图录提供数据展示 

开拍时间 2025-07-27 19:38)


원4대가 오진을 비롯하여 명대 동기창은 물론 수많은 명청대, 근현대 대가들이 
미가의 산수를 흠모하며 미가의 화풍으로 혹은 미가의 작품을 그대로 필사한 산수화 
"방미가산수"를 수없이 창작했으며, 특히 본 작품을 그린 오진과
명대의 동기창은 미가화풍을 따른 방미가산수(米家山水)를 즐겨 그렸으며
또한 동기창은 본 작품의 작가 오진의 필법을 따른 방오진산수(吳鎭山水)도 즐겨 그렸으며
2010년 북경국제경매에서 동기창의 "방오진산수" 한 폭이 2,240만위안에 낙찰된 바 있습니다.

송,명,청의 대가들은 물론 근현대 대가 장대천,황빈홍 등도 역대 대가들의 명작을

즐겨 임모하여, 방작,임모작은 중국 미술사에서 주요작품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 같은 전통에 따라 중국의 경우는 특별히 서양화에서도 임모작이 꽤 많으며 

서비홍 오관중을 비롯하여 최근의 유소동,냉군 증범지 등등 임모작품이 적지 않으며, 

특히 현대 서양화대가인 진단청의 경우는 작가 초기부터 현재까지 

유화 소묘 수채수분화 등을 막론하고 중세와 근대의 서구명작 임모작이 매우 많습니다.


당송팔대가나 원나라시기의 황공망 오진 등 원대의 역대급 대가들의
산수화 작품을 흠모하여 임모(临摹,따라 그린)한 작품들은 
명대부터 수없이 많은 제목으로 창작되어 하나의 장르로 정리될 정도입니다.
명대 동기창부터 명청대의 역대급 대가들은 물론
황빈홍 제백석 부유 장대천 등등 거의 모든 근현대 산수화가들이 
수없이 그린 정통산수화의 교본이자 경전이기도 합니다.

본 작품 역시 세계 중근세 미술사의 저명 동양화가 오진의 방미가산수(米家山水)로
서명 매화암(梅花庵) 등으로 미루어 오진의 노년기 1340년대 전후로 추정되는 작품입니다.

통칭 송금(宋錦,송나라비단)으로 불리는 유명한 송,원대의 두툼한 비단폭에 그린 격조높은 작품으로

화제부분 제목은 
夏山烟雨(여름산 안개비),
米虎兒法(방미호아법,-미우인의 화법을 따랐다)
서명부분은 梅花庵雅茶(매화암아차,-매화암의 그윽한 차),
혹은 梅花庵雅香(매화암아향,매화암의 그윽한 향기)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두 방의 낙관 중, 위의 작은 낙관인장은 "一梅" 혹은 "梅"로 아직 확인이 안된 인장이며
아래의 큰 인장은 매화암(梅花盦,오진의 별호)으로 오진의 전용 상용낙관입니다. 

".魏塘,吴镇故里梅花庵"=위당진魏塘镇,오진의 고향마을(고향집) 매화암.
매화암(梅花庵)은 현재 오진(吳鎭)의 동상과 묘가 있는 곳으로 유명한 관광명소인데 ,
실제로는 매화암은 오진이 태어난 곳이며 자란 곳이며 묻힌 곳입니다.

매화암은 명대에 들어서 조정에서 본격적으로 오진을 기리는 묘역으로 단장을 시작해
동기창이 매화암이라는 글씨를 써붙이고 묘역을 정비하며 매화정이라는 누각을 지었고
역사 속에서 수차례 훼손과 재건축을 거쳐 1990년 오늘날의 모습으로 재건되게 됩니다.
따라서 기본적인 건축물과 비석들 석조품들의 원형은  거의 모두 명대에 건축된 것이며
현재  오진기념관인 매화암은  강남의 명소로, 오진을 흠모하던 현대미술대가 오관중의 
강남수향 시리즈작품에도 많이 등장하는  아름다운 문화유적명승지로 유명한 곳입니다.

송대 당시, 매화암(梅花庵)은 오진본인과 오진의 저택, 서재를 가르키는 말입니다.
오진은 매화를 너무 사랑해서 자신이 평생 사용하던 호가 매화도인(梅花道人)이며,
다른 사람들 오진을 불러주는 별호도 매화화상(梅花和尚)입니다.
매화암 역시 오진의 별호,댁호(宅號)로,  장대천은 대풍당(장대천 화실), 
반천수는 청천각(반천수의 서재,재실)으로 부르는 것처럼
오진은 집도 梅花庵(매화암)이라고 했고 서재도 매화암, 재실(齋室)도 매화암입니다.

화제에 '仿虎儿(미호얼, 즉 미우인米友仁을 따라하다)라고 쓰여 있습니다.
虎儿(미호얼)은 '미씨가문의 새끼호랑이'라는 미우인의 별명(별호)입니다.
아버지 미불은 송4대가(미불,채양,소동파,황정견) 중 한사람으로, 
미우인은 미파를 창립한 미불(米芾,1051-1107)의 아들이자
미씨운산(미가산수)를 집대성한, 송대 산수화의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그가 虎儿(미호얼)이라 불리는 것은, 그가 어린나이에 서화에 비범한 재능을 보이자
송나라 명신이자 송4대가로 추앙을 받던 그의 아버지 미불에게 '호랑이 새끼를 키웠다'하며
주변사람들이 농담반 진담반으로 虎儿(미씨가문의 호랑이새끼)이라고 불렀고, 
그때부터 산수대가 미우인은 虎儿이란 아호와 별명으로 불리게 되었다 합니다.

본 경매사진 뒷부분 두 폭의 작품 역시 서양화대가들의 임모작으로

두번째, 청대 입식병풍 형식의 목판유화는 국보급 유화가 동희문(董希文)의 1965년 임모작으로
뒷면 동희문 자필 화제 서명으로 "研究所.....希文作, 1965"라고 적혀 있습니다.
화제에 쓰인 연구소(研究所)는 국립돈황예술연구소(国立敦煌艺术研究所)로
동희문은 1940년대 돈황예술연구소 연구원으로 수많은 돈황벽화 임모작을 창작한 바 있으며
1960년대에는 국립중앙미술학원교수로 이 연구소에서 중앙미술학원 학생들과 
돈황벽화예술연구소 연구원들에게 벽화미술과 임모작 유화 등에 대한 강의를 진행한 바 있습니다.

세번째, 6폭병풍 화중화(画中画) 임모작은, 동희문의 스승이자 오관중 조무극의 스승으로
중국 서양화의 태두로 불리는 임풍면(林風眠)의 1970년대 작품으로, 
청대 산수화병풍을 자신의 서양화풍으로 재해석 창작한 서양화 수채복합 임모풍경화입니다.

마지막 사진은 가장 최근인 지난7월27일 낙찰된 방미가산수 경매기록입니다.

경매문의 중 영인본,인쇄본 여부에 관한 문의가 가끔 있습니다. 영인본은 작품이 아닙니다.

복제공예품,혹은 인쇄품으로 표기해야 하며,영인본을 작품이라고 절대 표기할 수 없습니다. 

따로 설명이 없더라도 판매자의 모든 원본경매작품들은 영인본,인쇄본이 한 점도 없습니다.

  • 번호
  • 질문구분
  • 제목
  • 등록자
  • 등록일
반품시 주의사항
아래 각호의 경우에는 반품이 되지 않습니다.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멸실 / 훼손된 경우(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 소비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3)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4)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5) 판매 / 생산방식의 특성상, 반품 시 판매자 에게 회복할 수 없는 손해가 발생하는 경우(주문접수 후 개별생산, 맞춤 제작 등)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알아보기
파손물품 반품시 주의사항
물품 수령시 택배기사와 함께 물품의 파손여부를 확인하신 후,
반품 신청시 파손이미지를 등록해 주시면 안전하고 신속하게 환불처리를 해드리고 있습니다.

영수증발행 : 온라인현금영수증(소득공제용 / 지출증빙용)

영수증신청 : 수령확인시에 개인소득공제용 또는 사업자회원님의 지출증빙용(세금계산서대체)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판매자 정보
판매자 ID ams3 사업자구분 간이과세자 대표자 오**
상호 페***** 사업자등록번호 590******* 통신판매업신고 제2016-서울관악-0115호
전화번호 010********** email ao**************
영업소재지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3길 46 (봉천동) ****

코베이옥션은 구매안전서비스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가입사실 확인

마이페이지

 로그인

로그인 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