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 데일리경매 02-738-1268 (평일 10:00 ~ 17:00)
- 삶의흔적경매 02-738-0552 (평일 10:00 ~ 17:00)
- 주말 및 공휴일은 휴무입니다. (점심 12:00 ~ 13:00)
2주 전 월요일 ~ 일요일까지 입금완료일부터 배송완료일까지의 평균 소요 일수를 기준으로 합니다.
배송완료 건이 비정상 거래로 판단되는 경우, 집계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물품 크기 | 가 119 x 세로 32 |
---|
제조국 | 한국 |
---|
(진품보증) 악필법으로 유명한 근대 서예 대가 /석전 황욱(石田 黃旭.
1898~1992)/ 선생의 묵서 (미사용)
크기 가로 119 x 세로 32
황욱(黃旭. 1898~1992)
서예가. 호는 석전(石田)·남고산인(南固山人)·칠봉거사(七峰居士)·백련산인(白蓮山人).
전라북도 고창 출신. 가학으로 어려서부터 한학을 배웠다.
1920년금강산돈도암(頓道庵)에 들어가 서예에 정진하였는데, 왕희지(王羲之)와 조맹부(趙孟頫)의 법필을 중
심으로 서예공부를 하였다.
1930년 32세 때 고향인 고창으로 돌아와 15년간 신위(申緯)를 사숙하며 서예에 정진하는 한편, 육예(六藝: 중
국 교육의 여섯 가지 부문, 예,악,사,어,서,수)를 익혀 거문고와 글씨에 마음을 의지하는 은둔생활로 일관하였
다. 이때 그는 행서(行書)에 탁월한 경지를 이루어 친교가 있던 정인보(鄭寅普)·김성수(金性洙) 등의 격찬을
받았다.
황욱이 서예가로 세상에 알려진 것은 1973년 75세 때 전주에서 지방유지들의 초대로 회혼기념서예전을 열면
서부터였다.
1960년경부터 오른손 수전증으로 붓을 잡기 어렵게 되자, 왼손바닥으로 붓을 잡고 엄지로 붓꼭지를 눌러 운
필하는 악필법(握筆法)을 개발하였다.
이에 따라 중풍으로 오른손에 마비가 와서 좌수서예가로 유명했던 유희강(柳熙綱)과 쌍벽을 이룬다는 평을
들었다.
1974년 동아일보사 후원으로 열린 서울 작품전(문예진흥원미술관)을 필두로 1991년 역시 동아일보사 주최
의 회고전 때까지 해마다 전시회를 갖는 노익장을 과시하며 서울 서예계에 널리 알려졌다.
그의 악필 행초서(行草書)는 역대서법이나 기교를 초월한 기세(氣勢)의 웅강(雄强)과 순박, 그리고 초탈의 특
징을 가지고 있다. 악필로 인하여 미세한 점획의 처리가 어렵게 되자 그는 행간의 운율과 운필의 단순화에 의
하여 격을 유지하는 독특한 경지를 체득하였다. 법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 자칫 특징을 찾기 어려운 많
은 서예가들 가운데 그의 글씨가 유독 돋보이는 것은 이 같은 무기교(無技巧)와 육예에 의한 탈속의 초연한
인품에서 유래된 것이란 평도 있다.
대표적인 금석문으로 독립기념관 장건상선생어록비(張建相先生語錄碑)와 구례 화엄사 일주문, 불국사 종
각, 금산사 대적광전(大寂光殿) 등의 편액이 있다.
영수증발행 : 온라인현금영수증(소득공제용 / 지출증빙용)
영수증신청 : 수령확인시에 개인소득공제용 또는 사업자회원님의 지출증빙용(세금계산서대체)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주)코베이옥션에 등록된 상품과 상품내용은 개별 판매자가 등록한 것으로서, ㈜코베이는 중개시스템만 제공하며 해당 등록내용에 대하여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판매자가 사업자회원이 아닌 개인회원의 경우 판매자 정보는 [코베이옥션 결제처리] 이후 판매자의 연락처 등을 구매한 소비자에게 즉시 제공하게 됩니다.
코베이옥션은 구매안전서비스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가입사실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