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 전 월요일 ~ 일요일까지 입금완료일부터 배송완료일까지의 평균 소요 일수를 기준으로 합니다.
배송완료 건이 비정상 거래로 판단되는 경우, 집계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 물품 크기 | 미입력 |
|---|
| 제조국 | 한국 |
|---|
운림산방 3대주인 남농 허건 쌍솔 입니다
작품상태 최상급 입니다
액자크기:92cm*55cm
작품크기:67cm*43cm
화가 집안에 태어나 어려서부터 그림에 재능을 나타냈다. 그러나 생활의 빈궁함을 대물림하지 않으려는 아버지의 뜻에 따라 목포상업전수학원에 들어가 상업을 공부하였다. 그런 가운데에도 타고난 그림 자질이 발휘되어, 1930년 조선미술전람회 동양화부에 수묵 담채(水墨淡彩)의 사실적인 풍경화로 입선하였다. 1944년까지 연달아 입선과 특선에 오르면서 전통 화단에 진출하였다. 1940년에 제작된 수묵 채색화 「금강산 보덕굴」과 같은 무렵의 「산촌」은 광복 전의 대표작이다.
광복 후에는 그 전부터 지니고 있었던 경쾌한 붓놀림과 현실적 감각의 담채(淡彩) 및 농채(濃彩)의 기법으로 전통적인 산수화의 맛과 현실적 시각을 조화시키는 수법으로 시골 풍정을 주제 삼은 「4월 산촌록」(1948년), 「산사」(1955년), 「운림동 소견」(1957년)을 그렸다. 그밖에 무한한 향토애가 담긴 계절적인 산수 풍경화를 연작하였다.
1952년부터는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 참가하여 추천 작가 · 초대 작가 · 심사 위원을 역임하면서 작가로서의 명성을 굳혔다. 그리고 1957년 김기창(金基昶), 이유태(李惟台), 김영기(金永基), 김정현(金正炫), 박내현(朴崍賢), 천경자(千鏡子) 등과 중진 한국화가단체 백양회(白陽會) 창립에 참가하였다. 1970년대 중엽까지 지속된 그 연례 회원 작품전에 출품하였다.
18세 때부터 목포에 정착한 이래 그곳을 떠나지 않은 채 작품 활동을 하였다. 진도 출신으로 1920년대 이후 호남을 대표한 남종화풍의 대가로 광주(光州)에서 활동한 허백련(許百鍊)과 더불어 호남 전통화파의 상징적 고봉(高峯)으로 일컬어진다.
1979년 목포 성옥문화상(聲玉文化賞)을 받았으며, 1982년 은관문화훈장 및 목포시민상을 수상하였다. 1983년 대한민국예술원 원로회원에 피선되었다. 그리고 1985년 전라남도 무등문화상을 수상하였다.




영수증발행 : 온라인현금영수증(소득공제용 / 지출증빙용)
영수증신청 : 수령확인시에 개인소득공제용 또는 사업자회원님의 지출증빙용(세금계산서대체)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주)코베이옥션에 등록된 상품과 상품내용은 개별 판매자가 등록한 것으로서, ㈜코베이는 중개시스템만 제공하며 해당 등록내용에 대하여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판매자가 사업자회원이 아닌 개인회원의 경우 판매자 정보는 [코베이옥션 결제처리] 이후 판매자의 연락처 등을 구매한 소비자에게 즉시 제공하게 됩니다.
코베이옥션은 구매안전서비스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가입사실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