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 전 월요일 ~ 일요일까지 입금완료일부터 배송완료일까지의 평균 소요 일수를 기준으로 합니다.
배송완료 건이 비정상 거래로 판단되는 경우, 집계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 물품 크기 | 미입력 |
|---|
| 제조국 | 한국 |
|---|
오승우[吳承雨] 소싸움 < 작가의 작품 中 초년 작품 >
작품 사이즈 : 33 x 23.5 < 최고급 원목 표구 완비 >
오승우
1930 전남 동복 출생
1957 조선대학교 예술과 졸업
1957∼60 국전 6,7,8,9회 특선
1969∼80 국전초대작가 및 74, 76, 77, 79년 국전심사위원 역임
1976 오승우 구라파 풍경화집 출간
1977 경주 통일전 벽화제작(매초성 당군격퇴 100호)외 7점
1983∼93 사단법인 목우회장 역임
1986∼ 미술대전심사위원 및 운영위원역임
1993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으로 선출
1995 대한민국예술원상 수상
오승우 100산화집 출간
오승우 100산전 예술의 전당에서 개최
1998 대한민국문화예술상 수상
2000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장 역임
2000 명예철학박사수여(원광대학교)
오승우는 자연주의에서 출발하면서도 자연대상에 충실하기보다는
자연에서 오는 감동을 기조로 한 일종의 야수파적인 방법을 추구해온 화가이다.
따라서 그의 작품에는 항시 자연에로 향한 열망이 숨쉬고 있으면서도
밝고 화사한 빛과 색채에 의한 표현의 일관성을 유지해 오고 있다.
인상파가 추구한 바의 분할적인 묘법과
순도높은 색채의 감각을 한국의 자연에 적응시켰다.
이른바 인상파적 방법에 의한 한국 자연에 대한 해석은
그 독자적인 경향으로 심화되었다.
60년대 초반 그의 작품은 점차 자연의 구체적인 현실성에서 벗어나
환상적인 세계로 기울어졌는데 이와 같은 소재상의 변화 역시 인상파적 기법의
자연스런 추이로 볼 수 있는 것 같다.
70년대에 들어서면서 그는 다시 꿈의 세계에서 벗어나
현실속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그리고 그가 여전히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현실적인 소재의 범주는
이미 50년대를 통해 보여준 사찰이나 고궁이 중심이었다.
80년대에 시작한 한국 100산은 대작위로 제작하였고
어둡고 굵은 선과 터치로 산의 내면성을 추구하여
산이 가지는 웅장함을 심도있게 다룬 역작들이였고,
90년대 시작한 동방의 고건물 시리즈는
적, 청, 황, 보라 원색적인 색채로 호방하고
광란적인 터치로 제왕들의 절대 권력과
영화와 번영을 잘 표현해주고 있다.






영수증발행 : 온라인현금영수증(소득공제용 / 지출증빙용)
영수증신청 : 수령확인시에 개인소득공제용 또는 사업자회원님의 지출증빙용(세금계산서대체)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판매자 ID | choi5114 | 사업자구분 | 면세사업자 | 대표자 | 최** |
|---|---|---|---|---|---|
| 상호 | 혁**** | 사업자등록번호 | 508******* | 통신판매업신고 | |
| 전화번호 | 010********** | dn**************** | |||
| 영업소재지 | 경상북도 청송군 공원길 200-1(부동면) ***** | ||||
코베이옥션은 구매안전서비스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가입사실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