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 데일리경매 02-738-1268 (평일 10:00 ~ 17:00)
- 삶의흔적경매 02-738-0552 (평일 10:00 ~ 17:00)
- 주말 및 공휴일은 휴무입니다. (점심 12:00 ~ 13:00)
2주 전 월요일 ~ 일요일까지 입금완료일부터 배송완료일까지의 평균 소요 일수를 기준으로 합니다.
배송완료 건이 비정상 거래로 판단되는 경우, 집계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물품 크기 | 45 * 29.5 |
---|
제조국 | 한국 |
---|
조선후기 한성부판관, 용궁현감, 강원도사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정헌(定軒) 이종상(李鍾祥)의 정묘년(1867년) 간찰
-정헌(定軒) 이종상(李鍾祥, 1799-1870): 조선후기 한성부판관, 용궁현감, 강원도사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이다.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숙여(淑汝), 호는 정헌(定軒). 경주 출신. 증조부는 이돈항(李敦恒), 할아버지는 이헌석(李憲錫), 아버지는 이정열(李鼎說)이며, 어머니는 영양남씨(英陽南氏)로 사간원정언을 지낸 남경희(南景羲)의 딸이다. 큰아버지 이정약(李鼎若)에게 입양되었다. 할아버지 이헌석에게 수학하였다. 입재(入齋) 정종로(鄭宗魯)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31년(순조 31) 진사시에 합격한 뒤, 1836년(헌종 2) 장릉참봉에 임명되었으며, 이어 돈녕부주부·한성부판관·용궁현감·개령현감·강원도사 등을 역임하였다. 1862년(철종 13)에 환폐(還弊)·결폐(結弊)·군폐(軍弊)의 시정대책을 올렸을 때는 왕으로부터 책자를 상으로 하사받았다. 이종상은 서양학문이 국내에 번지자 이를 근심하고 이 사설(邪說)을 금지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1866년(고종 3) 미국 배 셔먼호가 침범하자 이를 토벌하기 위하여 경주진 소모장(召募將)이 되어 여러 읍에 걸쳐 불러서 타이르니 응모자와 자원 종군자가 수천 명에 이르렀다. 그러나 다시 지휘를 기다리라는 관문(關文)이 있어 거행하지는 않았다. 한편, 편지왕래로써 김매순(金邁淳)과 태극치성설(太極穉盛說)을, 남고(南皐)와 인도심사칠변(人道心四七辨)을, 한운성(韓運聖)과 심성설(心性說)을 논하였다. 1883년(고종 20) 영의정 홍순목(洪淳穆)의 주청에 따라 가선대부 사헌부대사헌 겸 성균관좨주에 추증되었다. 저서로는 『정헌문집(定軒文集)』 18권과 『역학여작(易學蠡酌)』 2권이 있다.
영수증발행 : 온라인현금영수증(소득공제용 / 지출증빙용)
영수증신청 : 수령확인시에 개인소득공제용 또는 사업자회원님의 지출증빙용(세금계산서대체)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주)코베이옥션에 등록된 상품과 상품내용은 개별 판매자가 등록한 것으로서, ㈜코베이는 중개시스템만 제공하며 해당 등록내용에 대하여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판매자가 사업자회원이 아닌 개인회원의 경우 판매자 정보는 [코베이옥션 결제처리] 이후 판매자의 연락처 등을 구매한 소비자에게 즉시 제공하게 됩니다.
코베이옥션은 구매안전서비스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가입사실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