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3년(1928년) 고양군 정관재(正觀齋) 발행/ 대구(大丘)人/서성(徐渻)1558~1631의 시문집 /약봉유고(藥峯遺稿 )/ 부록편 권 3~4

연장경매 대상 마감 전 1분 이내 입찰 시 3분 연장 (최초 1회 한정) 공유 신고

확대보기 확대보기     |     돋보기 돋보기

해당 판매자의 평균 배송기간은 1일 이내입니다.
배송기간은 주말/공휴일을 제외한 영업일 기준

2주 전 월요일 ~ 일요일까지 입금완료일부터 배송완료일까지의 평균 소요 일수를 기준으로 합니다.
배송완료 건이 비정상 거래로 판단되는 경우, 집계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현재가
남은시간

(2025년 09월 24일 21:12:22)

경매번호 2509ERFZDES
입찰기록 [기록보기]
입찰단위 10,000원
희망 입찰가
예상 구매가

( + 구매수수료 )

물품 크기 미입력
제조국 한국

크기     가로 21.2   높이 33


오래된 물품으로 흠이 있을수 있읍니다(이미지 사진 참고해 주세요)


낙찰시 배송비는 후불을 원칙으로 하며  금액의 오차가 있을수 있읍니다( 우체국 택배)


서성(徐渻.1558(명종 13)~1631(인조 9)) 약봉유고(藥峯遺稿 ) 부록편 권 3~4

 

이 책은 조선 중기 문신이었던 서성(徐渻, 1558-1631)의 문집 가운데 일부로서 그의 사후 유문(遺文)을 모아 편찬한 것이다.이 책의 저자인 서성은 호가 약봉(藥峯)이며 자는 현기(玄紀)로서 본관은 대구이며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서거정(徐居正)의 현손이며 서해(徐嶰)의 아들로서 이이(李珥)와 송익필(宋翼弼)의 문하에서 공부한 기호학파 계열의 문인이다. 선조 19년(1586) 알성문과(謁聖文科)에 급제하여 권지성균학유(權知成均學諭)가 된 이후 여러 관직을 거치면서 파란만장한 정치 역정을 거쳤다. 젊은 시절 임진왜란을 겪었으며 그 후에는 동인과 서인 사이의 극심한 당쟁 한가운데서 부침을 거듭했다.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를 호종하던 호소사(號召使) 황정욱(黃廷彧)의 요청으로 그의 종사관(從事官)이 되어 선조를 피신시키는 임무에 동참했다. 피난처를 함경도로 바꾸어 도피하다가 회녕(會寧)에 이르러 국경인(鞠景仁)의 반란 세력에게 붙잡혀 임해군(臨海君) 등과 함께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에게 넘겨져 잠시 포로생활을 하기도 했으나 곧 탈출하였다. 그 후 경성(鏡城)으로 돌아와 의병 수백 명을 모아 길주(吉州)에 주둔한 왜적을 물리치고 명천(明川)에도 진격하여 전공을 세웠다. 이 공로로 전적에 제수되었고 소모어사(召募御史)가 되었다. 또한 지평(持平), 병조정랑(兵曹正郞), 성균직강지제교(成均直講知製敎) 등을 역임했고 삼남지역(三南地域)에 암행어사로 파견되어 민정을 살펴보기도 했다. 이후 제용감정(濟用監正), 경상감사(慶尙監司), 내섬시정(內贍寺正), 비변사유사당상(備邊司有司堂上), 승문원부제조(承文院副提調) 등을 역임하였다. 도승지로 재직하던 시절엔 이항복(李恒福)과 이덕형(李德馨) 등을 신구(伸救)하였으며 정인홍(鄭仁弘) 일파에 반대하여 성혼(成渾)과 정철(鄭澈) 등을 변호하기도 했다. 선조 36년(1603)에는 함경감사(咸鏡監司)로 재직하며 북쪽 오랑캐들에 맞서 출병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파직당하기도 했다. 광해군 5년(1613) 계축옥사(癸丑獄事)에 연루되어 한응인(韓應寅), 신흠(申欽) 등과 함께 유교칠신(遺敎七臣)으로 지목되어 단양현(丹陽縣)에 유배되었고 이후 10여 년간 유배생활을 하다가 인조 1년(1623) 인조반정으로 형조판서에 제수됨으로서 복귀하였다. 이후 大司憲(대사헌), 경연성균관사(經筵成均館事) 등을 역임하였고 인조 2년(1624) 이괄(李适)의 난과 인조 5년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왕을 호종하면서 극심한 혼란기를 정권의 중심부에서 체험하였다. 이호민(李好閔), 이귀(李貴) 등과 남지기로회(南池耆老會)를 조직하여 역학(易學)을 토론한 바 있으며 서화(書畵)에도 뛰어났던 것으로 전해진다. 사후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되었고 대구의 구암서원(龜巖書院)에 제향되었다. 이이의 문인으로서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의 학맥을 잇고 있으나 남겨진 글이 많지 않아 학문적 영향력은 크지 않은 편이다. 저서로는 『약봉유고(藥峯遺稿)』가 있다.


저자의 유문은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얼마 남지 않고 유실되었다. 그의 증손 서문중(徐文重)이 얼마 남지 않은 유고를 정리하여 문집을 간행하려 했으나 수포로 돌아간 바 있으며 그 후 숙종 31년(1705) 서문유(徐文裕)가 전주에서 본집을 목판으로 간행하였다고 하나 전해지지는 않고 있다. 그 후 후손인 서광전(徐光前)이 초간본에 수록되었던 내용 외에 저자의 유문 몇 편을 더 찾아내어 원집 뒤에 부록(附錄)을 덧붙여서 경기도 고양에서 1928년 간행하였다. 이 책은 바로 이 판본에 해당된다. 원래는 원집 2권, 부록 2권으로 편제되어 있으나 이 책은 원집은 없고 부록 2권만 싣고 있다. 권3에는 김상헌(金尙憲)이 지은 행장과 신도비명(神道碑銘), 묘지명(墓誌銘), 가장(家狀) 등이 실려 있다. 권4에는 사제문(賜祭文), 제문(祭文), 만사(挽詞), 집승정사적(集勝亭事蹟) 등이 실려 있다. 집승정은 저자가 광해군 8년(1616) 영해(寧海)에 있을 때 입암(立巖) 옆에 지은 정자로서 시를 짓고 근심을 다스리던 곳이다. 책 말미에 경기도 고양에서 그의 후손 서광전이 1928년 간행하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양대 전란을 정권의 한복판에서 몸소 체험한 지식인의 문집으로서 비극의 와중에서도 도학정신을 놓지 않으려는 이념적 성향이 드러나 있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원집이 없이 부록만 남아 있는 점은 매우 아쉽다. (채석용)


 

  • 번호
  • 질문구분
  • 제목
  • 등록자
  • 등록일
반품시 주의사항
아래 각호의 경우에는 반품이 되지 않습니다.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멸실 / 훼손된 경우(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 소비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3)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4)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5) 판매 / 생산방식의 특성상, 반품 시 판매자 에게 회복할 수 없는 손해가 발생하는 경우(주문접수 후 개별생산, 맞춤 제작 등)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알아보기
파손물품 반품시 주의사항
물품 수령시 택배기사와 함께 물품의 파손여부를 확인하신 후,
반품 신청시 파손이미지를 등록해 주시면 안전하고 신속하게 환불처리를 해드리고 있습니다.

영수증발행 : 온라인현금영수증(소득공제용 / 지출증빙용)

영수증신청 : 수령확인시에 개인소득공제용 또는 사업자회원님의 지출증빙용(세금계산서대체)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주)코베이옥션에 등록된 상품과 상품내용은 개별 판매자가 등록한 것으로서, ㈜코베이는 중개시스템만 제공하며 해당 등록내용에 대하여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판매자가 사업자회원이 아닌 개인회원의 경우 판매자 정보는 [코베이옥션 결제처리] 이후 판매자의 연락처 등을 구매한 소비자에게 즉시 제공하게 됩니다.

코베이옥션은 구매안전서비스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가입사실 확인

마이페이지

 로그인

로그인 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