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 데일리경매 02-738-1268 (평일 10:00 ~ 17:00)
- 삶의흔적경매 02-738-0552 (평일 10:00 ~ 17:00)
- 주말 및 공휴일은 휴무입니다. (점심 12:00 ~ 13:00)
2주 전 월요일 ~ 일요일까지 입금완료일부터 배송완료일까지의 평균 소요 일수를 기준으로 합니다.
배송완료 건이 비정상 거래로 판단되는 경우, 집계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물품 크기 | 미입력 |
---|
제조국 | 한국 | 연대 | 연대미상 |
---|
* 물품 배송은 우체국 택배를 이용합니다.
* 택배 배송 비용은 꼭 선결제로 이용 부탁드립니다.
* 반품은 물품 훼손의 위험이 있어 불가능하오니 주의 깊게 확인하시고 신중한 입찰 부탁드립니다.
- 발행처 ) 국립민속박물관
- 저자 ) 이홍재
:茅亭(모정) -마을 어귀에 세워진 초가지붕 정자.
풀로 이룬 그늘 아래, 사람과 시간이 머물던 곳.
『모정의 세월』은 전북 지역을 중심으로
시골 마을 곳곳에 남은 모정(茅亭)의 현재를 기록한 사진전의 공식 도록입니다.
모정은 단지 건축물이 아닌, 공동체의 기억이 응축된 생활공간이며
이 도록은 그 소박한 장소들을 시선과 해설로 정성껏 엮은 시각 민속자료입니다.
■ 도록 구성
전라북도 지역 중심의 모정 사진 다수 수록
마을 구조 속 모정의 위치와 쓰임, 계절감, 재료의 다양성까지 포착
전통 공간의 변모와 소멸, 그리고 남은 의미를 고요하게 비추는 기록
국립민속박물관의 해설과 사진작가의 시각이 어우러진 구성
◎ 전북 전역의 농촌 마을에 남은 ‘모정’ 실태 시각화
◎ 사진전 감성을 그대로 담은 도판 중심 구성
◎ 유통 드문 국립기관 전시 도록
『모정의 세월』은
시멘트보다 먼저 사람을 품었던 공간에 대한 기록입니다.
지금, 그 소박한 그늘의 기억을 한 권의 책으로 만나보세요.
2. 까레이치, 고려사람
- 발행처 ) 국립민속박물관
- 저자 ) 이홍재
: 1937년, 화물 기차에 실려 떠난 한민족의 강제 이주.
그리고 낯선 땅 중앙아시아에서 뿌리내린 ‘고려사람’의 90년 기록.
『까레이치, 고려사람』은 고려인 사진작가 빅토르 안(Виктор Ан)이
수십 년간 기록해온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일상과 기억을 엮은 사진전 도록입니다.
대한민국과 우즈베키스탄·카자흐스탄 수교 30주년을 맞아 기획된
재외한인 디아스포라 민속문화조사의 결정적 성과물입니다.
■도록 구성 및 특징
빅토르 안 작가의 기증 사진 352점 중 전시작 60여 점 수록
고려인의 일생의례, 세시풍속, 음식, 주거 등 민속 키워드 중심 구성
러시아 문화, 우즈베크·카자흐 문화, 한민족 전통이 융합된 이문화적 풍경
“까레이치”라는 이름에 담긴 고려인의 역사적 정체성과 공동체 의식 조명
◎ 국내에 소장 사례 드문 희귀 사진 기록 도록
◎ 빅토르 안 작가의 생애 작업 중 공식 기증 자료 기반
◎ 고단한 정착과 생존, 그리고 공동체 유지의 미학적·사료적 가치
『까레이치, 고려사람』은
한 사람의 시선이, 한 민족의 기억을 기록한 사진이자,
조국과도, 타국과도 다른 한 정체성의 자화상입니다.
지금 이 도록을 통해 중앙아시아 속 ‘고려사람’을 마주해보세요.
영수증발행 : 온라인현금영수증(소득공제용 / 지출증빙용)
영수증신청 : 수령확인시에 개인소득공제용 또는 사업자회원님의 지출증빙용(세금계산서대체)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주)코베이옥션에 등록된 상품과 상품내용은 개별 판매자가 등록한 것으로서, ㈜코베이는 중개시스템만 제공하며 해당 등록내용에 대하여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판매자가 사업자회원이 아닌 개인회원의 경우 판매자 정보는 [코베이옥션 결제처리] 이후 판매자의 연락처 등을 구매한 소비자에게 즉시 제공하게 됩니다.
코베이옥션은 구매안전서비스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가입사실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