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 데일리경매 02-738-1268 (평일 10:00 ~ 17:00)
- 삶의흔적경매 02-738-0552 (평일 10:00 ~ 17:00)
- 주말 및 공휴일은 휴무입니다. (점심 12:00 ~ 13:00)
2주 전 월요일 ~ 일요일까지 입금완료일부터 배송완료일까지의 평균 소요 일수를 기준으로 합니다.
배송완료 건이 비정상 거래로 판단되는 경우, 집계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물품 크기 | 가 20.7 x 높이 31.1 |
---|
제조국 | 한국 |
---|
책 크기 가로 20.7 x 높이 31.1
4권 3책. 석인본. 1935년 후손 교희(敎熙)가 유문(遺文)을 수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봉시(鄭鳳時)의 서문과 권말에 김용관(金容寬)·교희의 지(識)가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은 부(賦) 1편, 시 86수, 제문 2편, 서(書) 3편, 권2는 묘갈문 9편, 권3은 차(箚) 13편, 소(疏) 2편, 계(啓) 8편, 교문(敎文) 1편, 비문(碑文) 1편, 권4는 부록으로 행장·신도비명·묘지문·유사·제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별도 1책에 부록으로 저자의 세계도와 연보개략(年譜槪略)이 첨부되어 있다.
시는 송별시와 차운시가 많다. 「봉송퇴계이선생환향(奉送退溪李先生還鄕)」 4수는 이황(李滉)이 벼슬을 사직하고 고향으로 내려갈 때, 「송정자정부경(送鄭子精赴京)」은 정탁(鄭琢)이 서울로 올라갈 때 전송한 송별시이고, 「근차퇴계선생운기제선몽대(謹次退溪先生韻寄題仙夢臺)」·「차천사한세능(次天使韓世能)」은 차운시이다.
소의 「진폐팔조소(陳弊八條疏)」와 「진폐십이조소(陳弊十二條疏)」는 당시의 폐단을 논한 상소문이고, 「답사우당서(答四友堂書)」 3편은 임원준(任元濬)의 서신에 회답한 서신이다.
「청참보우차(請斬普雨箚)」는 당시 명종의 모후인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신임을 받던 보우(普雨)를 참수하기를 주청한 준엄한 차자(箚子)이고, 「황산대첩지비문(荒山大捷之碑文)」은 1380년(우왕 6) 이성계(李成桂)와 이두란(李豆蘭)이 황산에서 왜적을 격파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1577년(선조 10)에 세운 황산대첩비의 비문으로 명문이다.
영수증발행 : 온라인현금영수증(소득공제용 / 지출증빙용)
영수증신청 : 수령확인시에 개인소득공제용 또는 사업자회원님의 지출증빙용(세금계산서대체)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주)코베이옥션에 등록된 상품과 상품내용은 개별 판매자가 등록한 것으로서, ㈜코베이는 중개시스템만 제공하며 해당 등록내용에 대하여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판매자가 사업자회원이 아닌 개인회원의 경우 판매자 정보는 [코베이옥션 결제처리] 이후 판매자의 연락처 등을 구매한 소비자에게 즉시 제공하게 됩니다.
코베이옥션은 구매안전서비스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가입사실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