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 데일리경매 02-738-1268 (평일 10:00 ~ 17:00)
- 삶의흔적경매 02-738-0552 (평일 10:00 ~ 17:00)
- 주말 및 공휴일은 휴무입니다. (점심 12:00 ~ 13:00)
2주 전 월요일 ~ 일요일까지 입금완료일부터 배송완료일까지의 평균 소요 일수를 기준으로 합니다.
배송완료 건이 비정상 거래로 판단되는 경우, 집계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물품 크기 | 미입력 |
---|
제조국 | 한국 |
---|
강파도원[江波陶苑] 토우(土偶) 김종희 [金鐘禧] 작품 < 미사용 박스 완비 작품 >
다관 12 x 18 x 15 숙우 7.4 x 13.7 x 12.8 찻잔 5 x 7.3 x 7.3
토우土偶 김종희 金鐘禧 (1921 ~ 2000)
대구에서 출생하여 김해에서 초등학교를 마치고
13세때인 1933년 일본으로 갔으나 가난 때문에
학교를 포기하고 오오사까 근교의 다지미에 있는 기후
현립 도자기연구소에서 도자기 수습공으로 취직한다 .
해방이 되어 고국으로 돌아오기까지 아이치현 세토지방의 도자기 공장에서 일하였다.
귀국한 토우는 48년에 가야산으로 들어와 자리를 잡는다.
당시 가야산일대는 백자를 만드는 고령토 광산이 있었고
일제때에는 일본인들이 이곳의 태토를일본으로 가져가기도 하였다.
토우가 도자기를 구우면서 차와 다기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당시 해인사 주지로 있던 효당 최범술과의 만남에서부터였다.
토우는 5인다기를만들고 중국과 일본에는 없는 뜨거운 물식힘 그릇인 숙우를 처음 만들어
사용한 주인공이며 이후 많은 차인들과 수행승들이 5인다기와 숙우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그의 찻주전자를 보면 다기가 깨지지 않도록 태토를 두껍게 하거나
찻물이 잘나오도록 구멍을 크게 내고 주둥이를 붕어 입처럼 만들어 놓아
매우 실용적이면서 반면에 기교가 없는 투박한 무색의 순수함을 갖추고 있다.
금당 최규옹선생은 토우가
"좋은 도자기일수록 오동지(五冬至, 음력5월과 동짓달) 삼동에 만들어야 한다며
그는 이미 완전건조시기의 시점까지 세심하게 고려한 도공이었다"고 말한다.
토우는 학문적으로는 혜암 큰스님과 일지암의 여연스님과 친했고
일타스님의 제자로 걸망안에 한 봉지의 차와 찻잔을
늘 갖고 다녔다는 도범스님과 무등산 춘설현의 의재 허백련 화백과의 교류도 두터웠다.
그리고 이들의 대부분은 토우의 다기를 사용했다.
토우는 대구에서 도자기 전시를 많이 하고 계명대와 대구 카톨릭대, 영남대에서 강의를 하며
대구 차인들과 교류가 많아지자 운명하기 직전까지 그들과 함께 해인사 주변에서
차밭을 운영하기도했다.
장남(강파江波 김일金一)과
그의 아들(김은 金垠) 또한 사기장이 되어 3대째 가야산에서
가업을 이어가고 있다.
1946년 귀국 고향부근의 해인사 입구 구원리에 도자기 공장을 세워 운영
1950년 이후 몇 년 동안 해인사 주지 효당 최범술스님으로부터 차그릇 만들기를 권유 받음
효당, 성철스님이 주문하는 승복색의 다기 만듬
고려도기사, 금성도기사등 공장다시 설립 운영
1972년 대구 계명대, 영남대, 효성여대등에 출강
1975년 10년간 계명전문대학 교수 재직. 그 무렵 경북 및 대구광역시 미술대전 초대작가로
심사위원 역임
1973년 76, 81년 도예 개인전
1990년 삼부자 도예전
1993년 도예창작 60년 기념전
영수증발행 : 온라인현금영수증(소득공제용 / 지출증빙용)
영수증신청 : 수령확인시에 개인소득공제용 또는 사업자회원님의 지출증빙용(세금계산서대체)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자 ID | choi5114 | 사업자구분 | 면세사업자 | 대표자 | 최** |
---|---|---|---|---|---|
상호 | 혁**** | 사업자등록번호 | 508******* | 통신판매업신고 | |
전화번호 | 010********** | dn**************** | |||
영업소재지 | 경상북도 청송군 공원길 200-1(부동면) ***** |
코베이옥션은 구매안전서비스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가입사실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