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 데일리경매 02-738-1268 (평일 10:00 ~ 17:00)
- 삶의흔적경매 02-738-0552 (평일 10:00 ~ 17:00)
- 주말 및 공휴일은 휴무입니다. (점심 12:00 ~ 13:00)
2주 전 월요일 ~ 일요일까지 입금완료일부터 배송완료일까지의 평균 소요 일수를 기준으로 합니다.
배송완료 건이 비정상 거래로 판단되는 경우, 집계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물품 크기 | 19×30센티 |
---|
제조국 | 한국 |
---|
낙장 무
***근사록은 비교적 경매에 나오는 편이지만 김장생의<근사록석의>는 매우 희소함***
***萬曆26년(1598년)에 간행한
사계(沙溪)김장생(金長生)의 『 近思錄釋疑』***
조선에서 『근사록』은 중요한 책으로 여겨지기는 하였으나
조선 전기 김종직(金宗直) 이래로 강조된 『소학』과 달리 특별히 주목받지는 못하였다.
이것은 김종직 이래로 유학자들에게 실천을 강조하는 흐름이 강하였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근사록』이 자주 언급되었던 것은 16세기 이황(李滉)에 의해서였다. 이황은 사서삼경 연구를 심화하여 경전 번역의 기틀을 마련하였고
말년에는 『근사록』을 주로 보았지만 체계적인 저술을 하지는 못하였다.
주자학을 기반으로 한 초학자 교육의 주석서는 주로 서인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김장생(金長生)은 『근사록석의(近思錄釋疑)』를 저술하여 조선, 최초로 『근사록』 주석서를 편찬하였다.
『근사록석의』는 앞선 주석서들과 달리 조선 학자들의 설을 대거 수록하였다.
자신이 『근사록』을 해석한 내용과 인용한 조선 학자들의 설을 합하면 그 비중이 주희를 포함한 중국의 설보다 크다고 조선 사상가들의 중론이다.
이는 그간 진행되어온 경전 연구에 힘입은 것이었다. 조선의 사서삼경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주자학을 자체적으로 이해하는 관점이 생겼고,
김장생은 이를 집대성하고 분석하여 『근사록』 연구의 기틀을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김장생은 이황부터 이어진 성리논쟁에서 이이(李珥)의 입장을 보완했고 학파를 유지할 수 있는 기틀을 만들었다.
영수증발행 : 온라인현금영수증(소득공제용 / 지출증빙용)
영수증신청 : 수령확인시에 개인소득공제용 또는 사업자회원님의 지출증빙용(세금계산서대체)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주)코베이옥션에 등록된 상품과 상품내용은 개별 판매자가 등록한 것으로서, ㈜코베이는 중개시스템만 제공하며 해당 등록내용에 대하여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판매자가 사업자회원이 아닌 개인회원의 경우 판매자 정보는 [코베이옥션 결제처리] 이후 판매자의 연락처 등을 구매한 소비자에게 즉시 제공하게 됩니다.
코베이옥션은 구매안전서비스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가입사실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