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 데일리경매 02-738-1268 (평일 10:00 ~ 17:00)
- 삶의흔적경매 02-738-0552 (평일 10:00 ~ 17:00)
- 주말 및 공휴일은 휴무입니다. (점심 12:00 ~ 13:00)
2주 전 월요일 ~ 일요일까지 입금완료일부터 배송완료일까지의 평균 소요 일수를 기준으로 합니다.
배송완료 건이 비정상 거래로 판단되는 경우, 집계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물품 크기 | 20/29/1 |
---|
제조국 | 한국 |
---|
조선후기의 학자 김노선(金魯善, 1811년~1886년).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자유(子唯). 호는 기계(奇溪). 의성군 점곡면(點谷面) 사촌리(沙村里)에서 출생하였다. 생부는 진사 김양식(金養植), 모는 의성김씨(義城金氏) 김곤수(金坤壽)의 딸이고, 양부는 김양정(金養楨)이다.
10세 전에 「십구사(十九史)」를 읽었고, 13·4세에 4서 5경을 독파하고, 제자(諸子)와 백가(百家)를 섭렵하여 약관에는 이미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 향시(鄕試)에 여러 번 합격하고 정시(庭試)를 치루고자 서울로 가는 도중 한강(漢江)에서 풍파를 만나 배가 전복되었으나 조금도 동요함이 없이 침착하였다 한다.
1856년(철종 7) 부사(府使) 신석우(申錫雨)의 초빙으로 낙육재(樂育齋)의 훈장(訓長)이 되어 학생을 가르쳤고, 거처하는 침실을 셋으로 나누어 한곳에는 장서실로 정하여 책을 쌓아두고 항상 책을 가깝게 하였다.
그의 선조(先祖)가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왜적을 무찌른 사적을 찾아 나라에 보고하여 포상을 받았으며, 선대의 사적을 수습하여 기록으로 남겼다. 1865년(고종 2) 예조(禮曺)에서 시행한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873년 향교(鄕校)의 교장이 되어 「백록동규약(白鹿洞規約)」과 「남전향약(藍田鄕約)」을 도입하여 시행에 힘썼다.
어린 학생을 가르치는 교안이 부족한 것을 염려하여 『천자문(千字文)』을 모방하여 「유의(幼儀)」를 만들어 교재로 삼았다. 성리학에서는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지지하였으며 저서로는 『기계문집(奇溪文集)』 8권이 있다.
표지일부 손상, 반품불가, 반품시 반품비용 구매자부담조건 판매, 사이즈는 정확하지 않음
영수증발행 : 온라인현금영수증(소득공제용 / 지출증빙용)
영수증신청 : 수령확인시에 개인소득공제용 또는 사업자회원님의 지출증빙용(세금계산서대체)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주)코베이옥션에 등록된 상품과 상품내용은 개별 판매자가 등록한 것으로서, ㈜코베이는 중개시스템만 제공하며 해당 등록내용에 대하여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판매자가 사업자회원이 아닌 개인회원의 경우 판매자 정보는 [코베이옥션 결제처리] 이후 판매자의 연락처 등을 구매한 소비자에게 즉시 제공하게 됩니다.
코베이옥션은 구매안전서비스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가입사실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