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 데일리경매 02-738-1268 (평일 10:00 ~ 17:00)
- 삶의흔적경매 02-738-0552 (평일 10:00 ~ 17:00)
- 주말 및 공휴일은 휴무입니다. (점심 12:00 ~ 13:00)
2주 전 월요일 ~ 일요일까지 입금완료일부터 배송완료일까지의 평균 소요 일수를 기준으로 합니다.
배송완료 건이 비정상 거래로 판단되는 경우, 집계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물품 크기 | 22/32/1 |
---|
제조국 | 한국 |
---|
조선 후기 유학자 장복추(張福樞, 1815년∼1900년).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경하(景遐), 호는 사미헌(四未軒)이다.
1881년(고종 18) 천거되었고 장원서별제(掌苑署別提)‧경상도도사(慶尙道都事) 등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하고 평생 학문만을 탐구하였다.
조선 말기 유학자 박영로(朴永魯, 1814년∼1904년).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백현(伯賢), 호는 암거(巖居), 거주지는 경북 군위군(軍威郡) 의흥(義興)이다.
과거에 뜻을 접고 학문에 정진하였다.
조선 말기 유학자 장승택(張升澤, 1838년∼1916년).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희백(羲伯), 호는 농산(農山)이다.
사림들의 추중을 받았고, 1912년에는 뇌양정사(磊陽精舍)를 건립하여 후진 양성에 힘써 문하에 많은 제자들을 두었다.
조선 말기 유학자 이기일(李基一, 1861년∼1908년).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조경(肇卿), 호는 임재(臨齋), 또는 구산(龜山)이다.
사미헌(四未軒) 장복추(張福樞: 1815∼1900)에게서 수행(修行)의 예절(禮節)과 치심(治心), 지경(持敬)의 요체(要諦)를 듣고서는 학문에 더욱 전념하였다.
이심건, 최시교, 조병유등 사미헌 장복추의 문인들의 간찰첩.
양면 50장 절첩식 간찰첩(표지2면, 간찰48면), 낙장 없음, 낙서 있음, 표지 책등 일부 훼손, 반품불가, 반품시 반품비용 구매자부담조건 판매, 사이즈는 정확하지 않음
영수증발행 : 온라인현금영수증(소득공제용 / 지출증빙용)
영수증신청 : 수령확인시에 개인소득공제용 또는 사업자회원님의 지출증빙용(세금계산서대체)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주)코베이옥션에 등록된 상품과 상품내용은 개별 판매자가 등록한 것으로서, ㈜코베이는 중개시스템만 제공하며 해당 등록내용에 대하여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판매자가 사업자회원이 아닌 개인회원의 경우 판매자 정보는 [코베이옥션 결제처리] 이후 판매자의 연락처 등을 구매한 소비자에게 즉시 제공하게 됩니다.
코베이옥션은 구매안전서비스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가입사실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