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 데일리경매 02-738-1268 (평일 10:00 ~ 17:00)
- 삶의흔적경매 02-738-0552 (평일 10:00 ~ 17:00)
- 주말 및 공휴일은 휴무입니다. (점심 12:00 ~ 13:00)
물품 크기 | 19/28/1 | ||||
---|---|---|---|---|---|
제조국 | 한국 |
조선 중기의 학자 송익필(宋翼弼, 1534년~1599년).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운장(雲長), 호는 구봉(龜峯).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조부는 직장(直長) 송인(宋璘), 부는 판관 송사련(宋祀連), 모는 연일정씨(延日鄭氏)이다.
조모 감정(甘丁)이 안돈후(安敦厚)의 천첩소생이었으므로 신분이 미천하였다.
초시(初試)를 한번 본 외에는 과거를 단념하고 학문에 몰두하여 명성이 높았다. 이이(李珥) · 성혼(成渾)과 함께 성리학의 깊은 이치를 논변하였다. 특히 예학(禮學)에 밝아 김장생(金長生)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또 정치적 감각이 뛰어나 서인 세력의 막후실력자가 되기도 하였다.
1586년(선조 19) 동인들의 충동으로 안씨 집안에서 송사를 일으켜, 안처겸의 역모가 조작임이 밝혀지고 송익필의 형제들을 포함한 감정의 후손들이 안씨 집의 노비로 환속되자 그들은 성명을 바꾸고 도피 생활에 들어갔다.
1589년 기축옥사로 정여립(鄭汝立) · 이발(李潑) 등 동인들이 제거되자 그의 형제들도 신분이 회복되었다. 그 때문에 기축옥사의 막후 조종 인물로 지목되기도 하였다. 뒤에 또 노수신, 이산해 등 동인들을 비난한 조헌(趙憲)의 과격한 상소에 관련된 혐의로 이산해(李山海)의 미움을 받아 송한필과 함께 희천으로 유배되었다.
1593년 사면을 받아 풀려났으나, 일정한 거처없이 친구 · 문인들의 집을 전전하며 불우하게 살다 죽었다. 1586년 안씨의 송사 전까지는 고양의 귀봉산 아래에서 크게 문호를 벌여놓고 후진들을 양성하였다.
그 문하에서 김장생 · 김집(金集) · 정엽(鄭曄) · 서성(徐渻) · 정홍명(鄭弘溟) · 강찬(姜澯) · 김반(金槃) · 허우(許雨) 등 많은 학자들이 배출되었다. 시와 문장에 모두 뛰어나 이산해 · 최경창(崔慶昌) · 백광훈(白光勳) · 최립(崔岦) · 이순인(李純仁) · 윤탁연(尹卓然) · 하응림(河應臨) 등과 함께 선조 대의 팔문장가로 불렸다.
시는 이백(李白)을 표준으로 했고, 문장은 좌구명(左丘明)과 사마천(司馬遷)을 위주로 하였다. 자신의 학문과 재능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여 스스로 고대하게 행세하였다. 또한 아무리 고관 · 귀족이라도 한 번 친구로 사귀면 자(字)로 부르고 관으로 부르지 않았다. 이러한 태도가 송익필의 미천한 신분과 함께 조소의 대상이 되었다.
표지완전, 반품불가, 반품시 반품비용 구매자부담조건 판매, 크기는 정확하지 않음
영수증발행 : 온라인현금영수증(소득공제용 / 지출증빙용)
영수증신청 : 수령확인시에 개인소득공제용 또는 사업자회원님의 지출증빙용(세금계산서대체)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주)코베이옥션에 등록된 상품과 상품내용은 개별 판매자가 등록한 것으로서, ㈜코베이는 중개시스템만 제공하며 해당 등록내용에 대하여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판매자가 사업자회원이 아닌 개인회원의 경우 판매자 정보는 [코베이옥션 결제처리] 이후 판매자의 연락처 등을 구매한 소비자에게 즉시 제공하게 됩니다.
코베이옥션은 구매안전서비스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가입사실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