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 데일리경매 02-738-1268 (평일 10:00 ~ 17:00)
- 삶의흔적경매 02-738-0552 (평일 10:00 ~ 17:00)
- 주말 및 공휴일은 휴무입니다. (점심 12:00 ~ 13:00)
[三韻聲彙]의 完本은, 상·하 전2권 ․ 부(附) 옥편(玉篇) 전1권 등 전3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경매에 출품된 [三韻聲彙]의 경우, 上、下卷 2冊이 具備되어 있다.
[三韻聲彙]의 체재는 『삼운통고』와 마찬가지로 평·상·거성 소속 한자를 한꺼번에 배열하는 3단 체재를 취하였으나, 자순(字順)은 현실 우리나라 한자음(漢字音)에 입각하여 한글 자모순으로 배열하였다.
한자의 주해는 대개 『증보삼운통고』와 같으나 간혹 상세하게 주해를 단 것이 있으며, 한자음표기는 한글로 하되, 우리나라 한자음을 먼저 기록하고 중국 본토자음(本土字音)을 그 밑에 기록하였다.
우리나라 한자음이 혼란상태에 빠져 있다는 생각에서 현실음도 일부는 개정한 규범음으로 표시하려고 노력하였으며, 중국 본토자음은 대개 사성통해음을 따랐다. 보편(補篇)인 『옥편』은 자획순으로만 되어 있고, 한글로 표음되지는 않았다.
『삼운성휘』의 범례에는 언자초중종성지도(諺字初中終聲之圖)가 실려 있어서, 18세기에 쓰이고 있던 한글의 자모수(字母數) 등을 보여주고 있으며, 한글자모 하나하나를 『훈민정음』 예의편에 있는 한자들을 그대로 이용하여 초성·중성을 설명하였으며, 8종성을 최세진(崔世珍)의 『훈몽자회』 범례에 실려 있는 초성종성통용팔자(初聲終聲通用八字)에 이용된 한자로써 설명하였다.
이 표에서는 한글자모의 배열 순서를 현행과 거의 같이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 로 하였으며, 다른 모음들의 뒤에 결합되어 중모음을 형성하는 ‘ㅣ’ 모음을 중중성(重中聲)이라고 한 것이 특색이다. 또, 한글 자모의 수를 25자로 하였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세월의 흐름을 머금고 있으나, 작품의 보존된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세로 30.3 cm, 가로 20.3 cm.
* 본 물품은 코베이에서 물품을 위탁 받아 설명, 사진촬영 등을 진행하여 등록된 것으로 낙찰 시 15%(부가세 별도)의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회원님들께서는 이 점 감안하시고 신중히 구매해주시기 바랍니다.
원활한 경매진행을 위해 모든 질문은 '비공개문의'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전자상거래등에서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한 반품규정이 판매자가 지정한 반품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배송지역 | 전국※제주권 및 도서산간 지역은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
배송방법 | 택배, 선불/착불 선/착불3,300원 |
반품기간 | 수령일로 부터 7일 이내에 반품을 신청 하실 수 있습니다. |
반품비용 | 원인제공자 부담을 원칙으로 합니다. |
영수증발행 : 온라인현금영수증(소득공제용 / 지출증빙용)
영수증신청 : 수령확인시에 개인소득공제용 또는 사업자회원님의 지출증빙용(세금계산서대체)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