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 데일리경매 02-738-1268 (평일 10:00 ~ 17:00)
- 삶의흔적경매 02-738-0552 (평일 10:00 ~ 17:00)
- 주말 및 공휴일은 휴무입니다. (점심 12:00 ~ 13:00)
물품 크기 | 0 | ||||
---|---|---|---|---|---|
제조국 | 한국 |
가로31.5cm 세로129cm
유명서예가 우당 유창환 선생님의 명필서예 작품입니다.
작품성이 좋으며, 오래된 작품으로 배접 되어 있습니다.
오랜 세월의 흔적으로 약간 흠은 있을수 있습니다.
우당 선생님의 작품은 귀한니 좋은 소장기회 잡으시길 바랍니다.
조선 말기~근대기에 활동한 문신이자 서예가이다. 자는 주백(周伯), 호는 우당(愚堂)이다. 어릴 때 옥계(玉溪)라 자호한 적도 있으며, 만년에는 홍엽산방주인(紅葉山房主人) · 성동초로(城東樵老)를 즐겨 썼다. 본관은 기계(杞溪)이다. 조부는 첨지중추부사를 지낸 유한원(兪漢愿), 부친은 통덕랑을 지낸 유만주(兪萬柱), 모친은 연안이씨(延安李氏) 이춘수(李春秀)의 딸이다. 안동김씨(安東金氏) 김병악(金炳岳)의 딸과 혼인했으나 1남을 낳고 일찍 죽었고, 후처 전주이씨(全州李氏) 이발의(李潑儀)의 딸과 혼인하여 1남 1녀를 두었다.
1870년 10월 8일 부여현 옥계(玉溪), 현 부여군 은산면 가곡리에서 태어났다. 1902년 7월 22일 인천감리서 주사(仁川監理署 主事)에 임명되는 동시에 6품 승훈랑(承訓郞)으로 진급하여 처음으로 관직생활을 시작했으나, 1904년 러일전쟁이 일어나자 허위(許蔿)와 함께 의거를 모의했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고 이듬해 고향 부여로 돌아왔다. 영재교육을 통해 국운을 회복하려는 뜻을 가지고 1907년에 고향에 부흥학교(扶興學校)를 세워 참찬 권중석(權重奭)을 교장으로 추대하고 자신은 학감(學監)이 되었다.
1912년에 친척이자 지기인 유길준(兪吉濬) · 유진태(兪鎭泰)의 권유로 다시 상경하였으나 사세가 여의치 않아 다만 음률과 시서(詩書)로 위안거리를 삼았다. 이듬해 이세영(李世永) · 이장용(李章鎔)과 함께 장차 해외에서 광복활동을 할 계획을 논의했는데, 도중에 일이 탄로나서 옥에 갇혔다가 집행유예로 풀려났다. 1914년에는 일본으로 건너가 망명중인 청말(淸末)의 개혁가이자 서예가 강유위(康有爲)를 만나기도 했다. 1923년에는 이상재(李商在) 및 유진태와 협력하여 조선교육협회(朝鮮敎育協會)를 창립하였고, 1928년에는 이 협회의 부회장을 맡아 육영사업에 전력하였다. 만년에는 시문과 서예로 망국의 울분을 달래며 지내다 1935년 3월 19일 성동우사(城東寓舍)에서 작고했다.
교유한 인물로는 한말의 의병장이었던 허위(許蔿) · 문신 이범세(李範世) · 역사학자 윤영구(尹寗求) · 애국계몽운동가 유근(柳瑾) · 농민운동가 서정희(徐廷禧) · 문인서화가 지운영(池雲英) 등이 있다.스승 없이 스스로 글씨를 익혀 각체를 두루 잘 썼다. 해서와 행서는 당나라 안진경(顔眞卿)에 바탕을 둔 돈독한 필체와 함께 황정견(黃庭堅)을 비롯한 송대 서풍을 가미하여 독특한 필치를 구사했으며, 전서와 예서는 당시 유행하던 청대의 서풍을 받아들였다. 초서는 둥근 원필세(圓筆勢)를 강조하면서 필획에 비수(肥瘦)를 섞어 변화를 시도하는 호방한 운필을 보여 당시의 서예가들과 구별되는 서풍을 선보였다.
1925년부터 3년간 제4 · 5 · 6회 조선미술전람회(朝鮮美術展覽會)에 초서작품을 출품하여 입선하였으며, 제5회 때는 4등상을 받았다. 1976년에는 사학자 이병도(李丙燾) · 예술원 회장 박종화(朴鍾和) · 국어학자 이희승(李熙昇) 등의 주선으로 "우당 유창환 유묵전(愚堂兪昌煥遺墨展)"을 덕수궁 석조전에서 개최했으며, 유작 백여 작품을 선보였다. 특히 초서는 당대의 인사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박종화는 '우당은 울창하고 굳세게 뻗은 고송일지(孤松一枝)의 필력과 호탕한 장강만리(長江萬里)의 필세가 완당(阮堂) 이후에 일인이라 해도 지나침이 없다'고 하였다. 지운영은 따로 「초서찬(草書讚)」을 지어 '당세의 초성(草聖)으로, 장욱(張旭)이 신명을 전하고 회소(懷素)가 성품을 이룬 격'이라고 극찬하였다. 이는 한말의 여러 서풍이 혼재한 시대에 초서로 독보적 경지를 이룬 서예가였음을 말해 준다.
유창환의 유고로는 아들 유치웅(兪致雄)이 1980년에 간행한 『우당선생유고(愚堂先生遺稿)』가 있으며, 유묵으로는 유치웅이 편집하여 1969년에 도록으로 발간한 『유우당선생유묵(兪愚堂先生遺墨)』이 있다.
영수증발행 : 온라인현금영수증(소득공제용 / 지출증빙용)
영수증신청 : 수령확인시에 개인소득공제용 또는 사업자회원님의 지출증빙용(세금계산서대체)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자 ID | aaaa | 사업자구분 | 간이과세자 | 대표자 | 송** |
---|---|---|---|---|---|
상호 | 만**** | 사업자등록번호 | 402******* | 통신판매업신고 | 제2010전주완산00220호 |
전화번호 | 010********** | ha******************* | |||
영업소재지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은행로 1 (경원동3가) ************ |
코베이옥션은 구매안전서비스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가입사실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