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83h) 무오년(1918년) 한말 유학자 首陽 吳震泳의 문서.

연장경매 대상 마감 전 1분 이내 입찰 시 3분 연장 (최초 1회 한정) 공유 신고

확대보기 확대보기     |     돋보기 돋보기

현재가
남은시간

(2025년 05월 06일 19:25:10)

경매번호 2504F7OU69A
입찰기록 [기록보기]
입찰단위 1,000원
희망 입찰가
예상 구매가

( + 구매수수료 )

물품 크기 20.3 * 24.3 cm
제조국 조선

화면 참조.

오진영(吳震泳 1868-1944) : 한말의 유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이견(而見), 호는 석농(石農), 아버지 기선(驥善)과 어머니는 전주 이씨로 충청북도 진천(鎭川) 외가에서 태어났다. 19세에 전우(田愚)를 처음 만난 후 스승으로 섬겨 호서지역의 대표적 전우 문인이 되었다. 그는 27세 때 동학도(東學徒)에 붙잡혀 고문을 받으면서도 굽히지 않았고, 일제 말기인 71세 때 형사에게 체포되자 칼로 자신의 목을 찔러 항거하할 만큼 자신의 기절을 지켰다. 1905년 그는 일본의 불의(不義)를 규탄하는 〈포고천하문 布告天下文〉을 지었고, 일본이 국가간의 공법(公法)을 어긴 죄를 문책해 각 국 공관(公館)에 호소하는 글을 지었다. 그는 〈기분 記憤〉을 지어 3.1운동때 일제(日帝)의 잔인함에 울분을 기록하였다. 또한 조긍섭(曺兢燮)의 〈복변 服辨〉에서 망국(亡國)의 임금인 고종(高宗)을 위한 상복을 거부하자, 그는 조긍섭의 입장을 반박하는 〈변복변 辨服辨〉을 지어 고종을 위해 상복을 입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는 당시 유교를 비난하는 주장에 맞서 유교전통을 수호하는데 힘썼다. 1920년 권덕규(權德奎)가 동아일보에 글을 실어 공자와 함께 유림의 부패된 의식을 비판하자 〈경고세계문 敬告世界文〉을 지어 항의하고, 1931년 이인(李仁)이 공자를 비난하는 글을 싣자 동료 문인들과 함께 적극적인 성토에 나섰다. 스승의 문집인 ≪간재사고 艮齋私稿≫의 간행을 추진하다가 문인들 사이에 분열이 일어나기도 했지만, 전우의 행장(行狀)을 짓는 등, 스승을 높이고 학통을 수립하는 데 진력하였다. 1944년 음성(陰城) 망화재(望華齋)에서 세상을 떠났으며, 그의 문인들이 안성(安城) 경앙사(景仰祠)에 배향하였다. 석농집(石農集)이 있다.

  • 번호
  • 질문구분
  • 제목
  • 등록자
  • 등록일
반품시 주의사항
아래 각호의 경우에는 반품이 되지 않습니다.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멸실 / 훼손된 경우(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 소비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3)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할 정도로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4)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5) 판매 / 생산방식의 특성상, 반품 시 판매자 에게 회복할 수 없는 손해가 발생하는 경우(주문접수 후 개별생산, 맞춤 제작 등)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알아보기
파손물품 반품시 주의사항
물품 수령시 택배기사와 함께 물품의 파손여부를 확인하신 후,
반품 신청시 파손이미지를 등록해 주시면 안전하고 신속하게 환불처리를 해드리고 있습니다.

영수증발행 : 온라인현금영수증(소득공제용 / 지출증빙용)

영수증신청 : 수령확인시에 개인소득공제용 또는 사업자회원님의 지출증빙용(세금계산서대체)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판매자 정보
판매자 ID kijun2000 사업자구분 면세사업자 대표자 기**
상호 타*** 사업자등록번호 432******* 통신판매업신고 제 2020-서울은평-0843 호
전화번호 010********** email ki*********************
영업소재지 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 749-11 (대조동, 아이안빌) *****************

코베이옥션은 구매안전서비스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가입사실 확인

마이페이지

 로그인

로그인 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