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 데일리경매 02-738-1268 (평일 10:00 ~ 17:00)
- 삶의흔적경매 02-738-0552 (평일 10:00 ~ 17:00)
- 주말 및 공휴일은 휴무입니다. (점심 12:00 ~ 13:00)
물품 크기 | 21/31/1 | ||||
---|---|---|---|---|---|
제조국 | 한국 |
조선 전기의 문신 황희(黃喜, 1363년~1452년).
본관은 장수(長水). 초명은 수로(壽老). 자는 구부(懼夫), 호는 방촌(厖村). 시호는 익성(翼成), 개성에서 출생하였다.
증조부는 황석부(黃石富), 조부는 황균비(黃均庇), 부는 자헌대부 판강릉대도호부사(資憲大夫判江陵大都護府使) 황군서(黃君瑞), 모는 김우(金祐)의 딸이다.
1376년(우왕 2) 음보로 복안궁녹사(福安宮錄事), 1383년 사마시, 1385년 진사시, 1389년에는 문과에 급제한 뒤, 1390년(공양왕 2) 성균관학록에 제수되었다.
1392년 고려가 망하자 일정 기간 은둔생활을 하며 고려 유신으로 지냈다. 1394년(태조 3) 태조의 출사(出仕) 요청을 수용하여 성균관학관에 제수되면서 세자우정자(世子右正字)· 직예문춘추관 · 감찰 등을 역임하였다.
1398년 문하부우습유(門下府右拾遺) 재직 중 언관으로서 사사로이 국사를 논의했다고 문책되어 경원교수(慶源敎授)로 편출되었다가, 1398년(정종 즉위년) 우습유로 소환되었다. 이듬 해 언사로 파직되었다가 그 해 2월경 문하부우보궐에 복직되었다.
언사로 파직되었으며, 곧 경기도도사(京畿道都事)를 거쳐 형조 · 예조 · 이조 · 병조의 정랑을 역임하였다. 1401년(태종 1)경 지신사(知申事) 박석명(朴錫命)이 태종에게 천거해 도평의사사경력(都評議使司經歷)에 발탁되었다.
그 뒤 병조의랑에 체직되었다가 1402년 아버지의 상으로 사직하였다. 그러나 그 해 겨울 군기(軍機)를 관장하는 승추부의 인물난으로 기복되어 대호군 겸 승추부경력에 제수되었다. 1404년 우사간대부를 거쳐 승정원좌부대인에 오르고, 이듬해 박석명의 후임으로 승정원지신사에 발탁되었다.
1409년 참지의정부사가 되고, 형조판서를 거쳐 이듬해 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 · 대사헌 등을 지냈다. 1411년 병조판서, 1413년 예조판서를 역임하고, 이듬해 질병으로 사직했다가 다시 예조판서가 되었다.
1415년 이조판서 재직 중 송사(訟事) 처리와 관련해 육조에 문책이 내려지면서 파직되었다. 그러나 그 해 행랑도감제조(行廊都監提調)에 복위된 데 이어, 참찬 · 호조판서를 역임하였다. 1416년에는 세자인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실행(失行)주1을 옹호하다가 다시금 파직되었다.
그 뒤 조정으로 복귀해 공조판서가 되었다. 그리고 평안도도순문사 겸 평양윤, 판한성부사를 역임하였다. 1418년 세자 폐출주2의 불가함을 극간주3하다가 태종의 진노를 사서 교하(交河)주4로 유배되고, 곧 남원부에 이치(移置)되었다.
세종의 치세가 시작되고 아울러 태종의 노여움이 풀리면서, 1422년(세종 4) 남원에서 소환, 직첩과 과전을 환급받고 참찬으로 복직되었다. 1423년 예조판서에 이어 기근이 만연된 강원도에 관찰사로 파견되어 구휼하였다.
그리고 판우군도총제(判右軍都摠制)에 제수되면서 강원도관찰사를 계속 겸대하였다. 1424년 찬성, 이듬해에는 대사헌을 겸대하였다. 또한 1426년에는 이조판서와 찬성을 거쳐 우의정에 발탁되면서 판병조사를 겸대하였다.
1427년 좌의정 겸 판이조사가 되었고, 그 해 어머니의 상으로 사직하였다. 그 뒤 좌의정이 되었다. 이어 평안도도체찰사로 파견되어 약산성기(藥山城基)를 답사하였다. 이 때 약산주6이 요충지라 해서 영변대도호부를 설치한 뒤 평안도도절제사의 본영으로 삼게 하였다.
1430년 좌의정으로서, 감목(監牧)을 잘못해 국마(國馬) 1,000여 필을 죽인 일로 해서 사헌부에 구금된 태석균(太石鈞)의 일에 개입해 선처를 건의하였다. 그러나 일국의 대신이 치죄에 개입함은 부당할 뿐더러, 사헌부에 개입하는 관례를 남기게 되므로 엄히 다스려야 한다는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
1431년 다시 복직되어 영의정부사, 1449년 치사(致仕)로 18년 동안 국정을 통리(統理)하였다.
1452년(문종 2) 세종묘에 배향되었다. 그리고 1455년(세조 1) 아들 황수신(黃守身)이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면서 순충보조공신 남원부원군(純忠補祚功臣南原府院君)으로 추증되었다.
상주의 옥동서원(玉洞書院)과 장수의 창계서원(滄溪書院)에 제향되었다.
표지완전, 책상태 양호, 반품불가, 반품시 반품비용 구매자부담조건 판매, 사이즈는 정확하지 않음
영수증발행 : 온라인현금영수증(소득공제용 / 지출증빙용)
영수증신청 : 수령확인시에 개인소득공제용 또는 사업자회원님의 지출증빙용(세금계산서대체)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주)코베이옥션에 등록된 상품과 상품내용은 개별 판매자가 등록한 것으로서, ㈜코베이는 중개시스템만 제공하며 해당 등록내용에 대하여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판매자가 사업자회원이 아닌 개인회원의 경우 판매자 정보는 [코베이옥션 결제처리] 이후 판매자의 연락처 등을 구매한 소비자에게 즉시 제공하게 됩니다.
코베이옥션은 구매안전서비스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가입사실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