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 데일리경매 02-738-1268 (평일 10:00 ~ 17:00)
- 삶의흔적경매 02-738-0552 (평일 10:00 ~ 17:00)
- 주말 및 공휴일은 휴무입니다. (점심 12:00 ~ 13:00)
물품 크기 | 18×29.5센티 | ||||
---|---|---|---|---|---|
제조국 | 조선 |
낙장 무
1431年(세종12년) 발행본
現)문화재와 동일본
계미자 번각본
*본 매물 冊은ㅡ고서 전문가의 정밀 檢討에 의거ㅡ 나라 소장본(문화재등재본)과 동일본이며
1431年(세종12년)에 刊한 최초발간본임을 검증하였습니다
1993년 우리나라 보물로 지정되었다. 9권(권62∼70) 1책. 목판본『춘추좌씨전』을 송(宋)나라 때의 학자 임요수(林堯叟)가 읽기 어려운 글자에
음주(音註)하고 전문(全文)에 알기 쉽게 주석한 계미자 원판본을 똑같이 번각(翻刻)한 책이다.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등록본이다.
사실을 기록한 『춘추』는 시사를 알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책이었다.
조선 초기에는 이 책이 국내에 간행된 바가 없었고, 혹 가장본(家藏本)이 있다 해도 모두 중국 서점에서 구입한 것이어서 『춘추』를 공부 하는 학자의 애로가 심하였다.
1430년(세종 12) 여름에 전라도관찰사로 부임한 신개(申牲)가 가장본을 간행해 보급하려는 의도로 도사(都事) 김치명(金致明)과 의논,
금산(錦山)에 판각할 것을 알리는 공문을 보내는 한편, 다른 고을에게는 재목과 공장이를 모으는 데에 협조를 지시해 그 해 12월에 착수하였다.
이듬해(1431) 2월에 신개는 내직으로 이임함에 따라 후임 관찰사 서선(徐選)이 그 간행의 일을 이어받아 1431년 5월에 계미자본을 저본으로 하여 완성하였다.
권말에 붙은 발문은 관찰사의 취지를 받들어 그 간행의 일을 주관한 김치명이 썼다.
금산군에서는 1454년(단종 2) 6월에 계미자(癸未字)로 『음주전문춘추괄례시말좌전구두직해』를 번각한 일이 있었는데, 이 책은 그보다 24년 앞서 이루어진 최초의 계미자, 번각판이다.
번각이기는 하지만, 새김이 비교적 정교하고 초기에 인출해서 인쇄 상태가 깨끗해 저본인 계미자본의 차이가 없을만큼 그 특징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
영본이며 번각본이기는 하지만, 세종 때 처음 찍어낸 책이란 점에서 인쇄사 및 서지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영수증발행 : 온라인현금영수증(소득공제용 / 지출증빙용)
영수증신청 : 수령확인시에 개인소득공제용 또는 사업자회원님의 지출증빙용(세금계산서대체)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주)코베이옥션에 등록된 상품과 상품내용은 개별 판매자가 등록한 것으로서, ㈜코베이는 중개시스템만 제공하며 해당 등록내용에 대하여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판매자가 사업자회원이 아닌 개인회원의 경우 판매자 정보는 [코베이옥션 결제처리] 이후 판매자의 연락처 등을 구매한 소비자에게 즉시 제공하게 됩니다.
코베이옥션은 구매안전서비스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가입사실 확인